웹과 앱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는 단순히 텍스트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, 사용자 경험(UX), 브랜드 이미지, 가독성 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예요. 잘 설계된 타이포그래피는 디자인을 더욱 직관적이고 세련되게 만들어 주고, 반대로 잘못된 타이포그래피는 사용자가 정보를 읽기 어렵게 만들 수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웹 & 앱 디자이너가 타이포그래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볼게요.
1. 웹 & 앱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가 중요한 이유
✅ 1) 사용자 경험(UX) 향상
글자가 크거나 가독성이 떨어지면 사용자는 금방 피로를 느껴요. 반면, 적절한 폰트 크기와 줄 간격을 설정하면 사용자가 편안하게 정보를 읽을 수 있어요.
✅ 2)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
• 세리프(Serif) 폰트 → 전통적이고 신뢰감 있는 느낌
• 산세리프(Sans-serif) 폰트 → 모던하고 깔끔한 이미지
• 필기체(Script) 폰트 → 감성적이고 개성 있는 분위기
브랜드의 성격에 따라 폰트 스타일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.
✅ 3) 정보의 계층 구조(Visual Hierarchy) 구축
웹사이트나 앱에서 중요한 정보는 한눈에 들어와야 해요.
폰트 크기, 굵기, 색상을 조절하면 사용자가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요.
2. 웹 & 앱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 활용법
1) 폰트 선택하기 (Serif vs. Sans-serif)
웹 & 앱 디자인에서는 Sans-serif(고딕체) 폰트가 주로 사용돼요.
✅ Serif (명조체)
• 전통적인 분위기
• 신뢰감 & 고급스러운 느낌
• 긴 텍스트(뉴스, 블로그)에서 가독성이 좋음
✅ Sans-serif (고딕체)
• 모던하고 깔끔한 느낌
• 모바일 & 디지털 환경에서 가독성이 우수
• UI, 버튼, 제목 등에 적합
💡 추천 무료 폰트
• Google Fonts: Roboto, Lato, Montserrat
• Adobe Fonts: Source Sans Pro, Poppins
• 한글 폰트: Noto Sans KR, 나눔고딕, Pretendard
2) 글자 크기와 계층 구조 설정
✅ 기본적인 글자 크기 가이드
• 제목(H1) → 32~48px
• 부제목(H2) → 24~32px
• 본문(P) → 16~20px
• 버튼(Button) → 14~18px
✅ 폰트 크기를 단계별로 설정하기 (모바일 & 웹 기준)
폰트 크기에 일관성이 있어야 사용자가 편하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요.
H1 (제목) → 가장 크고 눈에 띄게
H2 (부제목) → 조금 작게, 하지만 여전히 강조
P (본문) → 기본 크기로 가독성 확보
Button (버튼) → 눈에 띄게, 하지만 과하지 않게
폰트 크기 조절 시, **배율(scale)**을 맞추면 디자인이 균형 잡힌 느낌을 줄 수 있어요.
예를 들어, 1.2~1.6배율로 폰트 크기를 조정하면 자연스러운 계층 구조를 만들 수 있어요.
3) 줄 간격(Line Height) & 자간(Letter Spacing) 설정
✅ 줄 간격 (Line Height) 가이드
• 제목(H1, H2) → 1.2~1.3
• 본문(P) → 1.4~1.6 (가독성을 위해 넉넉하게)
• 모바일 UI → 1.6~1.8 (작은 화면에서 읽기 편하게)
✅ 자간 (Letter Spacing) 활용법
• 제목 폰트: 약간 넓게 (ex: 2~4% 증가) → 강조 효과
• 소문자 본문: 기본 유지 (0~2% 조정) → 가독성 유지
• 대문자 텍스트: 너무 좁아 보이지 않게 (3~5% 증가)
4) 대비(Contrast)와 색상 활용
✅ 텍스트 대비(Contrast) 체크하기
가독성을 높이려면 **텍스트와 배경의 대비(명암비)**를 적절히 설정해야 해요.
WCAG(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)에서는 명암비(contrast ratio) 4.5:1 이상을 권장해요.
→ 대비가 낮으면 읽기 어려워지고, 시각적으로 약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어요.
✅ 색상을 활용한 타이포그래피 가이드
• 중요한 정보 → 강조색 (Primary Color) 사용
• 보조 정보 → 중간 밝기의 회색 (#666, #777) 활용
• 비활성화 텍스트 → 연한 회색 (#999, #CCC)로 구분
💡 추천 툴:
• Contrast Checker (https://contrastchecker.com)
• Accessible Colors (https://accessible-colors.com)
5) 웹폰트 최적화 & 로딩 속도 고려하기
✅ 웹폰트 사용 시 유의할 점
• 웹사이트 & 앱에서 너무 많은 폰트를 사용하면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어요.
• Google Fonts & 시스템 폰트를 적극 활용하면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어요.
• 가급적 2~3개 이하의 폰트 패밀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.
✅ 폰트 로딩 속도 최적화 방법
• woff2 포맷 사용 (파일 용량이 작아 로딩 속도가 빠름)
• 폰트 서브셋(subset) 적용 (필요한 글자만 포함하여 로딩 속도 개선)
• font-display: swap; 속성을 CSS에 추가하여 초기 화면을 빠르게 표시
마무리하며
잘 활용된 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을 높이고,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며, UX를 개선하는 핵심 요소예요.
🔹 웹 & 앱 타이포그래피 활용 핵심 정리
✅ Sans-serif 폰트를 기본으로 활용하되, 브랜드 성격에 맞는 폰트 선택
✅ 폰트 크기 & 계층 구조를 명확하게 설정하여 가독성 확보
✅ 줄 간격(Line Height) & 자간(Letter Spacing) 조절로 편안한 텍스트 배치
✅ 텍스트 대비(Contrast)와 색상을 활용하여 정보 계층화
✅ 웹폰트 최적화로 로딩 속도 개선
타이포그래피는 단순한 텍스트 디자인이 아니라, 사용자의 경험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!
이제 여러분도 웹 & 앱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보세요.
'디자이너소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친환경 웹디자인: 탄소 배출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전략 (1) | 2025.02.07 |
---|---|
목업 이미지 무료로 제공하는 9개 사이트. (0) | 2025.02.05 |
2025년 주목해야할 디자인 트렌드 5가지 (0) | 2025.01.31 |
핀터레스트의 2025 컬러트렌드 (0) | 2025.01.28 |
고해상도 이미지와 아이콘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 (1) | 2025.01.16 |